<세계장애대회 '인천전략' 어떤 내용 담기나>
장애당사자 역량·의사결정권 강화 등 권리증진 초점
(인천=연합뉴스) 배상희 기자 = 인천 송도컨벤시아에서 '인천세계장애대회'가 진행되는 가운데 대회 마지막 날 선포될 '인천전략'에 어떤 내용이 담길 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인천전략은 아시아태평양 지역 장애인의 권리를 증진하고 인권을 보호하기 위해 오는 2013~2022년 10년 동안 각 국가와 지방정부가 따르도록 할 지침이다.
인천전략은 3번째 지침으로 지난 2002년 일본에서 선언된 2차 지침이 2003년부터 올해까지 10년간 통용됐다.
아시아태평양장애인연맹은 지난해 8월 인도에서 열린 지역 총회에서 인천전략 초안을 제시했다.
유엔 아시아태평양경제사회위원회(UN ESCAP)가 세계장애대회 기간 정부 간 회의를 통해 지침 세부 내용을 확정한다.
인천전략은 1·2차 지침과 지난 2006년 제정된 유엔 장애인권리협약(CRPD)을 기초로 해 작성된다.
2차 지침이 신체장애인 위주로 만들어졌다면 이번에는 여성장애인과 정신장애인까지 범위를 확장한다.
전문가 중심의 장애단체 활동에서 벗어나 장애 당사자의 역량을 강화하고, 의사결정 과정에서 이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토록 하는 내용도 포함한다.
ESCAP 정·준회원국의 이행에 초점을 맞춰 목표와 세부목표, 10개의 목표, 지표로 구성된다.
▲빈곤감소와 고용증진 ▲정치참여 증진과 의사결정권 강화 ▲물리적 환경, 대중교통, 정보통신 분야의 접근성 증진 ▲사회보호 강화 ▲장애아동 교육증진 ▲양성평등과 여성 역량 강화 ▲재난관리에서의 장애관점 통합 ▲장애 통계 개선 ▲장애인권리협약 비준 확대와 국내법과의 조화 ▲국제적, 지역적 협력 강화가 인천전략의 개략적인 목표다.
인천시의 한 관계자는 27일 "10년마다 만드는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장애인 권리 지침이 올해 인천에서 수립되게 됐다"며 "이번 세계장애대회는 초대형인 규모 뿐만 아니라 인천전략과 같은 콘텐츠 면에서도 장애인의 권리를 증진하는 의미있는 행사"라고 설명했다.
세계장애대회는 아시아태평양장애인대회(APDPI, 24∼27일)를 시작으로 아시아태평양장애포럼 콘퍼런스(APDF, 26∼30일), 세계재활협회(RI, 10월29∼11월2일) 등 국제회의로 이어진다. 유엔경제사회위원회 정부간 고위급 회의를 끝으로 오는 11월2일 행사가 막을 내린다. 4개 국제 대형 행사가 국내에서 동시에 개최되는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100개 국가에서 3천명이 참석하고 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