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활정보 상세

HOME > 복지자료실 > 재활정보 상세

2025년 2월 넷째주 주간장애계 뉴스 모음

작성자:울산시각장애인복지관 | 작성일자:2025.02.24

1, 복지 사각지대 발굴시스템 연계 정보 47종으로 확대

복지 사각지대 발굴시스템 연계 정보에 서민금융 신청반려자, 서민금융 관련 개인대출정보가 추가돼 총 47종으로 확대된다.

출처 : 에이블뉴스 https://www.able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8797

 

2, 코레일, ‘시각·지체장애인 승차권 예약’ AI음성챗봇 서비스 도입

한국철도공사(코레일)시각·지체 장애인을 위한 승차권 예약 챗봇 서비스를 선보인다고 21일 밝혔다.

출처 : 에이블뉴스 https://www.able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8867

 

3, 일상돌봄·긴급돌봄 제공기관, 네이버지도로 검색·예약하세요

보건복지부가 일상돌봄·긴급돌봄 서비스도 네이버 지도를 통해 주변 제공기관을 검색·조회하고, 초기상담 예약기능을 활용할 수 있다고 21일 밝혔다.

출처 : 에이블뉴스 https://www.able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8870

 

4, 장애예술인 문화예술활동 기회 여전히 부족, 연수입 909만원

장애예술인이 최근 3년간 작품을 발표하거나 작품에 참여한 평균 횟수가 40%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여전히 61.2%가 문화예술활동 기회가 부족했다고 했으며, 1년 평균 수입도 9095000원에 불과했다.

출처 : 에이블뉴스 https://www.able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8815

 

5, 우리가 알고 있는 헬렌 켈러 그 이후

선천적으로 장애를 가지게 된 필자는 어린 시절 나와 같은 장애를 가졌지만, 위인(偉人)으로 불리우는 이들을 본받고자 했다. 그 대표적 인물 중 한 사람이 바로 헬렌 켈러(Helen Keller 1880~1968) 이다.

출처 : 에이블뉴스 https://www.able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8739

 

6. 대국민 복지포털 복지로, ‘모바일 웹 접근성 품질인증 마크획득

한국사회보장정보원에서 운영중인 대국민 복지포털 복지로(http://www.bokjiro.go.kr)가 웹 접근성(모바일) 품질인증을 2년 연속 획득했다고 20일 밝혔다.

출처 : 에이블뉴스 https://www.able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8835

 

7, 장애인 고용 의무 기업들 직무 없어 안 뽑아오리발만

전체 기업체 중 장애인 고용 의무가 있음에도 36.2%적합 직무가 없다면서 장애인 채용을 하고 있지 않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 기업체 대부분은 최근 3년간 장애인을 단 한명도 고용하지 않았으며, 고용할 의사가 없다고 오리발을 내밀었다.

출처 : 에이블뉴스 https://www.able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8854

 

8, “왜 이런 아이가 우리 학교에장애학생 부모에게 막말한 교장

국가인권위원회가 장애학생 부모에게 왜 이런 아이가 우리 학교에 배정이 됐는지 모르겠다등의 부적절 발언을 한 학교장에게 장애인 차별금지 및 인식개선을 위한 인권교육 수강을 권고했다고 19일 밝혔다.

출처 : 에이블뉴스 https://www.able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8831

 

9, 아시아장애정상회의 참석, 15% 장애포괄적 공적자금 마련 협력 도모

한국장애인재활협회(회장 김인규, 이하 RI Korea)는 한국국제협력단(이사장 장원삼, 이하 KOICA) 및 한국개발협력연대 장애분과위원회(DiDAK) 소속 9개 장애단체, 개발협력 기관 및 사회적기업과 지난 14일부터 15일까지 태국 방콕에서 개최된 아시아장애정상회의에 참석했다.

출처 : 에이블뉴스 https://www.able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8802

 

10, 의료적 모델과 사회적 모델을 넘어 장애인의 건강을 향하여 

세계보건기구(WHO)건강이란 육체적·정신적·사회적으로 완전히 안녕(安寧, Wellbeing)한 상태로 정의한다. 건강하다는 것을 풀어서 설명하면 맛있게 식사하고 숙면하며 즐거운 마음을 가지고 사회에 어울려서 살아갈 수 있음을 말한다. 즉 장애를 의료적 또는 사회적 모델로 설명하는 것을 넘어서 이제는 건강을 다루는 장애에 대한 관점이 필요한 때이다.

출처 : 에이블뉴스 https://www.able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874

로그인을 하시면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