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중구난방 ‘장애인 재난 안전 매뉴얼’ 장애·재난 전문성 천차만별
장애인은 재난 취약계층인 만큼 우리나라는 보건복지부와 한국장애인개발원, 한국장애인고용공단,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소방청, 행정안전부 등 관련 부처와 단체들을 통해 지속적으로 장애인을 위한 재난 안전 매뉴얼을 개발하고 있다.
출처 : 에이블뉴스 https://www.able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2974
2. 방통위, 발달장애인 위한 영상 콘텐츠 제작 가이드라인 만든다
방송통신위원회(위원장 김홍일, 이하 방통위)가 발달장애인을 위한 영상콘텐츠 제작 가이드라인을 만든다.
이를 위해 방통위는 31일 장애인 분야 현장 전문가 및 사회복지사 등이 참여하는 ‘발달장애인 미디어 콘텐츠 자문 협의회(이하 협의회)’를 구성하고 1차 회의를 개최했다.
출처 : 에이블뉴스 https://www.able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2975
3, 활동지원서비스 시간 부족에 장애인 생존권 ‘위협’
“예산이 먼저냐, 사람이 먼저다! 인천 계양구는 활동지원서비스 보장해 장애인의 목숨을 지켜달라!”
민들레장애인자립생활센터(이하 민들레IL센터)와 민들레장애인야학은 31일 오전 10시 30분 인천광역시 계양구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같이 외쳤다.
출처 : 에이블뉴스 https://www.able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2967
4, 죄송한데 ‘복지카드’ 말고 다른 신분증은 없으세요?
대학교 기말고사 시즌이 되어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기말고사 안내 메일이 필자에게 도착하였다. 그 메일을 열어보니 고사 당일에는 학생증 또는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 등 공적 신분증이라고 표기되어 있었다.
출처 : 에이블뉴스 https://www.able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2860
5, 문화누리 실물카드 5년마다 재발급 “장애인‧고령자 불편”
문화누리카드는 자격 변동 여부가 실물 카드의 사용과 제한에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5년마다 실물 카드를 재발급을 받아야 해 장애인이나 고령자 등이 불편함을 겪고 있다는 지적이다.
출처 : 에이블뉴스 https://www.able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2962
6, 제22대 국회 1호 법안 “장애계 염원”, ‘교통약자법’ 전면개정
제22대 국회 1호 법안으로 '교통약자의 이동편의 증진법 전부개정법률안(이하 교통약자법)'인 ‘교통약자 이동권 보장을 위한 법률안’(이하 교통약자이동권보장법)이 발의됐다. 이에 장애계는 오랫동안 기다렸던 염원인 만큼 1년 내로 법안이 제정될 수 있도록 힘을 모아 달라고 호소했다.
출처 : 에이블뉴스 https://www.able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2949
7, 배리어프리 체육시설 강사진 위한 장애유형 이해와 대응 전략
1. 장애 유형에 따른 시설 접근성 정의하기
우리 시설은 어떤 장애 유형의 개인들에게 접근 가능한지를 명확히 정의해야 한다. 시각 장애를 가진 분들, 신체적 장애를 가진 분들, 정신적 장애를 가진 분들 등 각각의 장애 유형에 맞춰 접근성을 고려하여 시설을 구성해야 한다.
출처 : 에이블뉴스 https://www.able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2859
8, 성인장애인 교육받을 권리 ‘장애인평생교육법’ 결국 폐기
“성인장애인의 교육받을 권리를 ‘폐기’한 21대 국회를 규탄한다. 제22대 국회는 1년 내 장애인평생교육법을 제정하라.”
전국장애인야학협의회(이하 전장야협) 등 5개 장애인단체는 28일 오후 2시 국회 앞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이 같이 목소리를 높였다.
출처 : 에이블뉴스 https://www.able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2895
9, ‘장애학생 학교폭력 부실대응’ 결국 학교 떠난 피해학생
장애학생 학교폭력에 대한 부실한 대응에 피해 학생이 결국 일반학교를 떠나 특수학교로 전학을 가는 일이 발생했다. 이에 피해 학생의 어머니를 비롯한 장애인교육 단체들이 해당 학교와 인천교육청 규탄하며, 사건에 대한 전수조사와 가해 학생들의 엄벌을 촉구했다.
출처 : 에이블뉴스 https://www.able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2866
10, 장애인 금융 세금 가이드-15 ‘절세금융상품 시리즈 ISA제도'
ISA의 개요=ISA(개인종합저축계좌 혹은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는 저금리·저성장 시대에 개인의 종합적 자산관리와 재산형성을 지원하려는 취지로 2016년도부터 시행된 절세형 계좌(Individual Savings Account, 조세특례 제한법 제91조의 18)입니다.
출처 : 에이블뉴스 https://www.able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2905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