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윤으로 결정되는 장애인 생존권 “경장영양제 품절 문제 해결하라”
장애인들이 정부가 이윤의 논리로 장애인과 중증질환자의 생존권 문제를 방치하고 있다고 규탄하며 “경장영양제 품절 문제를 해결하라”고 목소리 높였다.
출처 : 에이블뉴스 https://www.able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2849
2, 장애인 금융 세금 가이드-14 ‘금감원 홈피 금융상품 한눈에 활용’
금융거래를 하려는 장애인들은 반드시 금융감독원 홈페이지 '금융상품 한눈에(https://finlife.fss.or.kr/finlife/main/main.do?menuNo=700000)'를 통해 여러 금융상품들을 효율적으로 확인하고 꼼꼼히 비교해 보는 습관을 가져야 합니다.
출처 : 에이블뉴스 https://www.able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2824
3, 간병 퇴직도 실업급여 대상이 될 수 있나요?
인간의 생로병사(生老病死)는 모든 사람이 반드시 겪게 되는 자연의 섭리이다. 태어나서 늙고 병들고 죽게 되는데 늙고 병드는 과정에서 사고도 생기고 장애도 생긴다.
출처 : 에이블뉴스 https://www.able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2846
4, 장애인체육회, 안정적 경력전환 지원 ‘2024년 선수 진로역량교육’ 운영
대한장애인체육회(회장 정진완)는 장애인 선수와 은퇴선수의 안정적인 경력전환을 지원하기 위해 ‘2024년 선수 진로역량교육’을 운영한다고 23일 밝혔다.
출처 : 에이블뉴스 https://www.able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2821
5, 보지 못해도 시각장애 등록이 안되는 사람이 있다
보는 것은 사물을 보는 것이 아니라 사실은 빛을 보는 것이다. 사물에서 반사되는 빛을 보는 것이다. 빛이 없는 밤이라 하더라도 조금의 빛은 있어 어느 정도 볼 수 있다. 반사되는 빛은 각막과 수정체를 통해 망막에 상이 맺어진다.
출처 : 에이블뉴스 https://www.able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2783
6, ‘장애인 의무고용 향상’ 일본의 다양한 정책적 노력들
우리나라의 국가 및 지자체는 3.8%의 장애인을, 월평균 상시근로자 50명 이상을 고용하고 있는 사업주는 3.1%의 장애인을 의무적으로 고용해야 한다.
출처 : 에이블뉴스 https://www.able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2801
7,권익위, 장애인 임차 차량도 고속도로 통행료 감면해야
장애인이 소유한 차량뿐만 아니라, 장애인이 차량을 임차해서 사용하는 경우에도 고속도로 통행료 50% 감면 대상에 포함해야 한다는 국민권익위원회(이하 권익위) 판단이 나왔다
출처 : 에이블뉴스 https://www.able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2779
8, 경기도, 오는 7월 장애인콜택시 AI상담원 도입‧운영
경기도와 경기교통공사, ㈜KT는 21일 업무협약을 체결, 장애인콜택시(특별교통수단) AI상담원을 올해 7월 도입‧운영하기로 했다.
출처 : 에이블뉴스 https://www.able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2772
9, 밀알 장애인 직원 3인방이 전하는 일상 이야기 “놀면, 뭐하고 노니?”
박세현: 브릿지온 앙상블(발달장애인 예술단)에서 바이올린을 연주하고 있는 박세현입니다. 저는 바이올린 연주를 통해 장애인 인식개선 활동을 전개하고 있습니다.
연승철: 밀알그린보호작업장(장애인직업재활시설)에서 근무하는 연승철입니다. 저는 저와 같은 발달장애인 친구들과 작업장에서 천연 수제비누를 만드는 일을 하고 있어요.
손창환: ‘헬렌켈러 시청각장애인 학습지원센터’에서 일하고 있는 손창환입니다. 저는 보이지 않고 들리지 않는 시청각장애를 갖고 있습니다. 2022년 밀알복지재단 시청각장애인 직원 1호로
출처 : 에이블뉴스 https://www.able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2759
10, 유엔 장애인권리협약 모니터링 뉴질랜드와 한국의 차이점
한국장애인연맹(한국 DPI)이 지난 20일부터 뉴질랜드 유엔 장애인권리협약 모니터링기구 초청, 국제세미나를 진행하고 있다.
출처 : 에이블뉴스 https://www.able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2743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