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시책 상세

HOME > 복지자료실 > 복지시책 상세

보육·교육 (2)

작성자:울산시각장애인복지관 | 작성일자:2024.10.28

<<장애아동 가정 양육수당>>

1,지원대상

- 어린이집·유치원(특수학교 포함)·종일제 아이돌봄서비스 등을 이용하지 않고 가정에서 양육되는 영유아로서 초등학교 미취학 24개월 이상~86개월 미만 아동

※ 보육료·유아학비를 지원받던 아동이 양육수당으로 변경 신청하는 경우, 어린이집을 퇴원하거나 유치원 학적을 중단한 경우에만 양육수당 지원대상이 되며, 타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에 재원·재학(학적유지) 중인 경우는 제외

※ 부모급여 도입에 따라 0~23개월 아동은 부모급여 지원, 24개월 이상부터 가정양육수당 지원

2. 지원내용

- 24~35개월: 월 20만원 / 36~86개월: 월 10만원

3. 신청방법

주소지 읍··동 행정복지센터 방문

복지로 온라인 신청(www.bokjiro.go.kr)

 

 

<<장애입양아동 양육보조금 지원>>

1. 지원대상

1) 입양특례법상 허가를 받은 입양기관에 의해같은 법의 요건과 절차를 갖춰 장애아동을 국내 입양한 가정

※ 입양아동 양육수당과 동시 지급 가능

※ 「사회복지사업법」 2조, 제4호에 따른 사회복지시설 중 생활시설 입소 아동은 지급대상에서 제외

2) 장애아동의 유형

입양 당시 장애인복지법에 따라 장애인 등록을 한 아동

분만 시 조산·체중미달·분만장애 또는 유전 등으로 입양 당시 질환을 앓고 있는 아동

※ 조산·체중미달·분만장애 및 유전 등으로 질환을 앓고 있던 아동이 지원을 받다가 완치된 경우 지급 중단

입양 후 선천적 요인으로 인한 장애가 발견되어 장애인 등록을 하거나 질환이 발생한 아동

※ 질환이 있는 아동의 지원대상 유무 판정 기준진단별 특성에 적합한 대학 병원급 전문의의 소견서(또는 진단서)를 첨부 받아담당의사와 협의 하에 결정

2. 지원내용

1) 양육보조금()

중증장애인월 627,000원

경증장애인 등 그 외 지원대상월 551,000

3. 신청방법

주소지 시··

 

 

<<여성장애인 교육 지원>>

1. 지원대상

장애인복지법에 의한 등록한 여성 장애인

2. 지원내용

역량강화교육프로그램(정서안정, 사회성 향상, 기초 경제적 역량 강화 등 자립 능력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상담 및 사례관리, 자조모임, 지역사회 연계

3. 문의

울산광역시장애인종합복지관 가족·문화지원팀(248-5912)

 

 

<<장애대학생 교육활동 지원>>

1. 지원대상

대학에 재학 중인 장애학생

 ※ 경증 장애학생 또는 기준 외 학생은 대학 특별지원위원회 사전 심의를 거쳐 지원 가능

2. 지원내용

- 일반교육지원인력: 대학 학습지원(강의·시험대필 등) 및 학습활동을 위한 이동·편의 지원
- 전문교육지원 인력: 수어통역사, 속기사, 점역사, 화면해설사 등에 의한 학습지원
- 보조기기: 장애유형별 보조기기 지원
※ 원격수업 등으로 인한 실시간 속기, 자막제작, 소프트웨어 지원 가능
※ 대학에서 교육지원인력을 선발·운영하고 활동비 지급 및 보조기기 구비 후 지원

3. 문의

대학 내 장애학생지원센터 또는 학생지원부서 신청

 

 

 <<심신장애인 학자금대출 채무면제>>

1. 지원대상

- 한국장학재단에서 학자금대출을 받은 후 심신장애로 인하여 학자금대출을 상환할 수 없게 된 자
- 채무자 본인의 소득인정액이 기준중위소득의 90% 이하

2. 지원내용

- 대상대출: 장애정도별 최초장애판정 이전에 실행한 재단 학자금대출(일반상환학자금, 취업후상환학자금, 학자금유예대출, 구상채권)
※ 최초장애판정 후 실행한 재단 학자금대출은 면제 불가
- 면제범위: 장애정도 및 소득조건에 따라 대출 잔액 원금의 30%~90% 면제
- 면제방법: 면제되지 않은 잔여 채무 전액 상환 후 면제

3. 문의

한국장학재단(☎1599-2000,2230,2250), 홈페이지(www.kosaf.go.kr)

  

 

<<장애인 정보화 교육>>

1. 지원대상

집합교육등록 장애인

방문교육중증장애인

- IT 긴급지원 서비스: 방문서비스(중증장애인), 전화 및 원격서비스(모든 장애인)

2. 지원내용

- 집합교육: 전국의 장애인 정보화교육기관에서 PC운용, OA운용, 생활활용, 멀티미디어 등 무료 교육
- 방문교육: 컴퓨터기초, 인터넷, 홈페이지 제작 등 교육생 수준을 고려한 맞춤식 1:1 무료 교육
- IT 긴급지원 서비스: 교육에 필요한 정보통신기기의 환경구성·긴급장애(S/W 설치·보수) 지원을 위해 정보화도우미가 방문하여 서비스 제공

3. 문의

1) 집합교육
- 울산광역시장애인종합복지관 권익옹호지원팀(☎248-5916)
- 울산광역시동구장애인복지관 교육문화지원팀(☎710-5991)
- 울산광역시시각장애인복지관 평생교육지원팀(☎256-5244/내선 370)
- 울산남구종합사회복지관 서비스제공과(☎260-2981)
2) 방문교육
-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정보화상담실, IT 긴급지원 서비스(☎1588-2670)
-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디지털배움터(www.디지털배움터.kr)

 

 

<<장애인 운전교육 사업>>

1. 지원대상

1종 및 제2종 보통 면허(수동자동취득희망자 및 소지자인 지체·뇌병변·청각장애인 중 면허조건*을 만족하는 자

면허조건이란 신체장애인의 신체장애 정도에 적합한 운전보조기기나 특수제작·승인 자동차로 운전을 해야 한다는 의미로전국

운전면허시험장에서 신체검사 후 부여 받을 수 있으며 국민기초생활수급자는 면허조건없이 가능

면허조건청각장애(E-청각장애인표시 및 볼록거울), 지체·뇌병변장애(F-수동제어기 및 가속기, H-우측 방향지시기, I-왼쪽 엑셀러레이터, G-특수제작 및 승인차)

2. 교육과정

1) 운전면허취득자 과정장내기능교육(8시간), 도로주행교육(10시간)

※ 학과시험은 교육하지 않음

2) 운전면허소지자 과정중도장애인 운전적응교육(10시간), 도로연수교육(10시간)

3) 운전체험교육(1시간): 실제 차량 운전을 통해 운전능력 및 자동차보조기기 정보제공

운전플러스업교육(3시간): 운전보조기기 없이 실제 차량으로 안전하게 운전할 수 있는지 평가 실시

4) 장애인 자동차보조기기 상담: 장애정도에 맞는 자동차 보조기기 종류·구입처·정부지원제도 등에 대한 정보 안내

3. 교육장소 및 방법

차량과 전문 강사가 찾아가는 운전교육 실시(단, 운전면허취득시 인근 도로교통공단 운전면허 시험장에서 교육 진행)

 

4. 운영시간 및 교육비

운영시간평일 08:30~17:30, 공휴일 제외(토,일,및 국경일 등)

교육비: 무료(민간운전학원 교육비를 지원하지 않고, 직접 교육 실시함, 운전면허취득시 발생하는 수수료(시험비, 발급비 등)는 개인 부담

5. 문의 및 신청

1) 신청국립재활원 장애예방운전지원과(운전교육내원 또는 전화온라인 상담 후 신청서류 팩스나 전자우편으로 접수

- 전화상담: 운전교육(☎02-901-1552~4), 자동차 보조기기 상담(☎02-901-1556)
- 온라인(카카오톡)상담: 카카오톡 실행 → 상단 검색창에 “국립재활원 장애인운전지원”입력 → 국립재활원 장애인운전지원 채널 클릭

2) 문의: 국립재활원 장애예방운전지원과(☎02-901-1553)

 

 

  - 자료출처 : 2024년 유익한 장애인 복지정보 - 울산광역시장애인종합복지관 발간 책자     

로그인을 하시면 댓글을 작성하실 수 있습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